부모도 우울할 수 있다
부모도 우울할 수 있다
부모에게 자식은 눈에 넣어도 아프지 않을 만큼 사랑스럽고 예쁩니다.
하지만 가끔 만사가 귀찮아질 때면 아이가 놀아달라고 하거나 보채는 소리에 짜증부터 날 때가 있지요.
부모도 사람인지라 스트레스를 받고 우울하거나 무기력해지기도 하는데, 이는 결국 육아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.
아이에게 좋은 모습만 보여주고 싶은 부모, 스트레스를 잘 해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부모만의 시간을 가져요
먼저 시간적인 여유나 틈이 생길 때 집안일은 잠시 내려놓고 쉬는 시간을 가져보세요.
아이가 등원한 후, 낮잠 잘 때 등 의식적으로라도 부모 자신만을 위한 시간을 가지는 것이 우울함과 무기력을 해소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목표를 설정해요
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'좋아하는 노래 듣기' '자기 전 3분 스트레칭' 등 부모 자신을 위한 작은 목표를 설정해 보세요.
목표를 성취하기 위해서는 의욕과 원동력이 생기며, 성취감을 높이다 보면 무기력함을 이겨낼 수 있습니다.
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요
우울함과 무기력이 지속되면 육아를 비롯한 생활 전반에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.
이때는 혼자 해결하는 것보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을 권장합니다.
전문가 상담을 통해 근본적인 해소뿐만 아니라 생활 스트레스 속 양육에 대해서 어떠한 방향으로 개선해야 하는지 등 솔루션도 함께 받아보세요.
728x90
반응형
BIG
'교육 > 유아 부모 교육자료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추운 겨울, 건강하게 보내요 (0) | 2025.05.18 |
---|---|
배려하는 모습을 보여 주세요 (0) | 2025.05.18 |
부정적인 언어습관, 어떻게 지도할까요? (1) | 2025.05.17 |
아이의 사소한 행동, 위험 신호는 아닌지 확인해 보세요 (2) | 2025.05.17 |
이런 양육 방식은 피해주세요! (0) | 2025.05.17 |
댓글 건
야근의 요정
"이 또한 지나 가리라" - 『미드라시(Midrash)』 의 ‘다윗 왕의 반지’ 기쁜 상황도 지나가니 함부로 교만하지 말아야 한다. 슬픈 상황도 지나가니 낙심하지 말아야 한다.어떠한 상황에도 항상 의연한 태도를 보여야 한다.